□ 개발 목적 및 필요성 국내 정수시설의 노후 및 비과학적인 유지관리 운영으로 인해 과대한 유지관리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자산화를 통한 운영 및 유지관리를 수행함으로서 비용에 대한 절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연결의 긴밀함을 지닌 정수시설은 효율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유지, 보수를 위한 점검이 아닌 데이터 수집을 통한 미래의 사고 발생을 예측하고 이를 대비할 수 있는 선후처리 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신속한 판단이 가능한 자산관리기법의 도입을 목표로 한다. □ 연구개발결과 본 연구는 상수도시설 자산관리 지침(안)에 제시되어 있는 상수도시설 자산관리 수행절차 7단계에 따라 정수시설을 대상으로 각 단계별 수행내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정수시설 내 시스템의 분류 및 계층화를 통해 자산에 대한 인벤토리 DB 표준화, 인벤토리 DB 구축을 완료하였다. 본 단계는 자산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단계로 대상 정수시의 모든 자산의 목록을 DB화하고, 유지 및 보수 이력데이터를 조사(2단계 ‘운영자료조사 기술진단’에 해당)하여 추후 진행되는 단계들의 INPUT 데이터로 활용한다. 다음 정수시설의 전과정관리(LCM) 분석은 분리막공정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분석법 및 기술진단 데이터를 활용한 펌프설비의 잔존수명 예측법, 기계설비 전반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본 분석법은 자산의 이력데이터를 통한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자산의 설치에서 폐기까지의 과정을 비용으로 환산하고 최적의 보수, 교체 시점을 결정한다. 또한, 정수시설의 공급자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비스수준(LoS)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GAP분석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가 제공받길 바라는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소요될 비용, 제공 가능한 서비스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사이의 균형을 조절한다. 서비스수준(LoS)분석을 통해 정수시설 내 시설물 및 공정에 대한 유지보수, 교체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효율적인 자산관리가 가능하다. 리스크(Risk)분석을 통하여 대상 자산의 사고발생확률을 수치적으로 제시하고, 비용측면에서 발생가능한 손실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잔존수명예측 결과, 리스크 분석, 서비스수준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량대상이 되는 자산을 예측하고, 투자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각 시설의 효율적인 개량시기 결정이 가능하다. 위 단계별 자산관리 방법은 수도사업자가 정수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되었으며, 해당 정수시설 자산관리프로그램은 Test-bed(영월정수장)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운영 중에 있다. □ 성능사양 및 기술개발 수준 [최종성과물> 정수시설 자산관리 3.0(프로그램) 사양 및 성능 호환 OS : Window7, Window8, WindowXP 프로그램 언어 : VC++ 호환 기종 : IBM-PC * 주요 기능 - 본 프로그램은 수처리시설의 자산에 대한 통합 인벤토리 프로그램, 자산기술평가(ATI) 프로그램, 리스크 분석 프로그램, 서비스수준 분석(Level of Service, LoS)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주요 기능으로 한다. * 사용방법 - 본 프로그램의 사용을 위해서는 먼저 해당 수처리시설 내 자산정보 및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통합 인벤토리 프로그램에 입력하고, 자산기술평가, 리스크 분석, 서비스수준분석 등 필요한 분석법을 활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도출한다. (자세한 분석법 별 프로그램 사용법은 매뉴얼 첨부) □ 활용계획 정수시설 자산관리 솔루션 개발 연구결과물은 정수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 등을 위한 기술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통합관리 시스템 기술을 통하여 글로벌 탑 수준의 상수도 운영관리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국내의 상수관망 최적관리 시스템 구축사업에 적용하여 국내 상수도 서비스 품질의 상향평준화에 기여토록 할 것이며, 또한 해외 신도시 건설사업과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사업방식의 상수도 건설/운영사업에 활용하여 국내 상수관망시장뿐만 아니라 상수도 시설의 확장과 개량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중동, 중국,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해외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여 세계 물기업 강국으로 자리매김 할 가능성이 있다. (출처 : 요약서 4p)